프리다이빙
프리다이빙 장비 관리와 세척 팁
jshsoul
2025. 8. 11. 18:00
프리다이빙 장비 관리와 세척 팁
프리다이빙은 장비 의존도가 낮은 스포츠처럼 보이지만, 사실 안전과 성능을 위해 장비 관리는 매우 중요합니다.
아무리 좋은 장비라도 세척과 보관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수명이 짧아지고, 물속에서 성능이 떨어져 위험할 수 있습니다.
오늘은 프리다이빙에서 사용하는 주요 장비별 관리와 세척 방법을 상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.
1. 마스크(Mask) 관리
세척 방법
- 바닷물 사용 후, 담수(깨끗한 수돗물)에 10~15분 정도 담가 소금기 제거
- 중성세제를 소량 사용해 유분이나 자외선 차단제 잔여물 제거
- 렌즈 안쪽은 손가락 끝으로 부드럽게 문질러 세척
- 건조 시 직사광선 피하고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서 말림
관리 팁
- 마스크 스트랩이 뒤틀리거나 늘어나지 않게 보관
-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실리콘 케이스에 넣어 외부 압력 방지
2. 스노클(Snorkel) 관리
세척 방법
- 사용 후 흐르는 깨끗한 물로 내부·외부 모두 세척
- 바닷물 소금기 제거 후 완전히 건조
- 분리 가능한 구조라면 파이프와 마우스피스를 분리해 개별 세척
관리 팁
- 마우스피스 실리콘이 경화되면 교체
- 보관 시 파이프가 휘어지지 않도록 곧게 두기
3. 핀(Fin) 관리
세척 방법
- 사용 후 핀 블레이드와 풋포켓 모두 깨끗한 물로 헹굼
- 모래나 작은 조개껍질이 끼지 않게 꼼꼼히 확인
- 건조 시 핀 블레이드를 벽에 기대어 수평·직립 상태로 세움
관리 팁
- 블레이드 위에 무거운 물건을 올리지 않기
- 장기간 보관 시 변형 방지를 위해 전용 핀백 사용
- 실리콘 풋포켓은 경화 방지를 위해 서늘한 곳에 보관
4. 웨트슈트(Wetsuit) 관리
세척 방법
- 바닷물 사용 후 즉시 깨끗한 물로 안·밖 모두 헹굼
- 중성세제나 웨트슈트 전용 세제를 사용해 땀·소금·자외선 차단제 제거
- 완전히 건조할 때까지 뒤집어서 그늘에 걸어두기
관리 팁
- 옷걸이는 어깨가 넓은 전용 행거 사용 (어깨 늘어짐 방지)
- 장기간 보관 시 직사광선·고온 환경 피하기
- 냄새 방지를 위해 완전 건조 후 보관
5. 웨이트 벨트(Weight Belt)와 웨이트
세척 방법
- 사용 후 깨끗한 물로 헹구고, 버클 부분의 모래 제거
- 금속 웨이트는 녹 방지를 위해 물기 완전 제거
관리 팁
- 실리콘 벨트는 구부러지지 않게 보관
- 버클이 헐거워지면 즉시 교체
6. 라인(Line)과 부표(Buoy)
세척 방법
- 라인은 깨끗한 물로 헹군 후 완전 건조
- 부표 외피는 부드러운 솔로 세척, 내부 공기 밸브 부분도 점검
관리 팁
- 라인은 직사광선 노출을 최소화하고, 꼬임이 생기지 않게 감아 보관
- 부표의 공기압을 장기간 유지하지 말고, 보관 시 살짝만 공기 주입
7. 공통 장비 관리 팁
- 소금기는 장비의 최대 적 → 바닷물 사용 후 반드시 담수 세척
- 건조 시 고온·직사광선 피하기
- 장비 운반 시 전용 가방 사용 → 충격·스크래치 방지
-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, 통풍이 잘 되는 서늘한 장소에 보관
마무리
프리다이빙 장비는 단순한 소모품이 아니라 물속에서 안전을 지켜주는 파트너입니다.
세척과 보관을 철저히 하면 성능이 오래 유지되고, 갑작스러운 장비 고장으로 인한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.
매 다이빙 후 10분만 투자해도 장비의 수명을 몇 배로 늘릴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