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리다이빙
프리다이빙 중 장비 분실 예방
jshsoul
2025. 8. 12. 17:18
프리다이빙 중 장비 분실 예방 방법
1. 왜 장비 분실이 문제인가?
프리다이빙은 장비 의존도가 낮은 스포츠이지만, 마스크·핀·웨이트벨트 등 필수 장비가 없으면 안전과 훈련 효율이 크게 저하됩니다. 특히 바다 환경은 조류, 파도, 시야 불량 등 예측 불가능한 요소가 많아 장비 분실 위험이 항상 존재합니다. 장비 분실은 단순한 금전적 손실뿐 아니라, 다이빙 중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.
2. 장비 분실 주요 원인
- 조류와 파도 – 수면 위나 수중에서 장비가 쉽게 흘러감
- 장비 결합 불량 – 스트랩·버클 결합 상태 미확인
- 다이빙 전 점검 미흡 – 사전 체크리스트 없이 입수
- 부력 조절 실패 – 웨이트 벨트 풀림, 부력백 조작 실수
- 휴식 중 방심 – 수면에서 장비를 벗어두고 대화 또는 휴식
3. 장비 분실 예방을 위한 7가지 팁
① 다이빙 전 철저한 장비 점검
- 스트랩, 버클, 클립이 손상되었는지 확인
- 마스크·핀 스트랩은 미세 균열이 없는지 체크
- 웨이트벨트 버클 작동 상태 점검
② 장비용 세이프티 라인 활용
- 마스크, 카메라, 랜턴은 리트랙터 라인이나 클립으로 몸에 고정
- 액션캠은 **더블 라인(주 라인 + 보조 라인)**으로 연결
③ 입수·출수 시 장비 고정
- 보트 다이빙 시 입수 전 장비 재확인
- 파도나 조류가 강한 경우 핀을 수면 위에서 미리 착용
④ 색상과 시인성 높은 장비 선택
- 장비가 떨어져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형광색·네온컬러 사용
- 액션캠 부력봉(플로트) 장착
⑤ 버디와 상호 확인
- 버디 체크 시 장비 결합 상태를 서로 점검
- 수중에서 장비 이상이 있으면 즉시 신호
⑥ 장비 임시 보관 시 고정
- 보트나 해변에서 장비를 벗을 때 전용 박스나 가방에 넣기
- 부력 있는 장비라도 수면 위 방치 금지
⑦ 예비 장비 준비
- 마스크, 스트랩, 클립 등은 예비품을 챙겨 비상상황 대비
4. 장비 분실 후 대처 방법
- 수심·조류·시야 조건을 파악한 뒤 버디와 함께 수색
- 위험 수역이면 장비 회수보다 안전 귀환 우선
- GPS 위치 기록 후, 필요 시 전문 다이버에게 회수 요청
5. 결론
프리다이빙에서 장비 분실은 사소한 부주의에서 시작됩니다. 하지만 간단한 습관과 예방 장비만으로 대부분의 상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.
“장비를 지키는 것 = 안전을 지키는 것”이라는 인식을 갖고 다이빙 전후 철저히 점검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