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cent Posts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cent Comments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nk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반응형
    
    
    
  | 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 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1 | ||||||
| 2 | 3 | 4 | 5 | 6 | 7 | 8 | 
| 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
| 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
| 23 | 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
| 30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Tags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- 프리다이빙 장비
 - 프리다이빙 블랙아웃
 - 프리다이빙 초보
 - 프리다이빙팁
 - 프리다이빙입문
 - 프리다이빙교육
 - 평영
 - 이퀄라이징
 - 프리다이빙
 - 프리다이빙훈련
 - 수영
 - 프리다이빙 준비물
 - 수영기술
 - 호흡법
 - 다이빙자격증
 - 배영
 - 프렌젤
 - 다이빙교육
 - 프리다이빙 입문
 - 숨참기훈련
 - 숨참기
 - 접영
 - 프리다이빙 안전수칙
 - AIDA비교
 - 프리다이빙안전
 - AIDA
 - 프리다이빙 호흡법
 - 자유형
 - 프리다이버
 - 수영배우기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Archives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- Today
 
- Total
 
프린이와 함께하는 프리다이빙!
프리다이빙과 잠수병: 발생 가능성과 예방 본문
반응형
    
    
    
  🫧 프리다이빙과 잠수병: 발생 가능성과 예방

1. 잠수병(감압병)이란?
- 잠수병(Decompression Sickness, DCS)은 수심에서 장시간 머무르며 고압 상태의 질소가 체내에 녹았다가, 상승 시 급격히 기포로 변하면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.
 - 주로 스쿠버다이빙에서 발생하며, 질소 기포가 혈관·조직에 문제를 일으켜 관절 통증, 어지럼증, 마비, 심하면 생명 위협까지 초래합니다.
 
2. 프리다이빙에서 잠수병 위험성
일반적으로 프리다이빙은 잠수병 위험이 매우 낮습니다.
그 이유는:
- 짧은 무호흡 잠수: 프리다이버는 보통 한 번 잠수 후 길어야 2~4분 정도 머무르고 올라옵니다.
 - 호흡기 사용 없음: 스쿠버처럼 압축 공기를 들이마시지 않기 때문에 질소가 폐에서 과도하게 흡수되지 않음.
 - 체내 질소 축적 시간 부족: 잠수 시간이 짧아 체내에 축적되는 질소 양이 미미함.
 
👉 따라서 대부분의 레크리에이션 프리다이빙에서는 잠수병을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.
3. 예외적 상황: 프리다이빙에서도 잠수병이 생길 수 있는 경우
아주 드물지만 특정 조건에서는 잠수병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- 반복 잠수: 짧은 휴식 후 수차례 깊은 잠수를 반복할 때, 체내 질소가 조금씩 축적될 수 있음.
 - 매우 깊은 잠수: 50m 이상 깊은 다이빙을 여러 차례 반복하면, 스쿠버와 비슷하게 질소 포화가 진행될 수 있음.
 - 충분한 회복 시간 부족: 다이빙과 다이빙 사이 휴식이 부족하면 위험 증가.
 
4. 예방 방법
프리다이빙에서 잠수병을 피하기 위한 안전 수칙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휴식 확보
- “1분 잠수하면 2~3분 휴식” 원칙 지키기.
 
 - 무리한 반복 잠수 피하기
- 기록을 늘리려는 욕심은 줄이고, 점진적으로 훈련.
 
 - 깊은 다이빙 전후 관리
- 40~50m 이상의 깊은 다이빙을 여러 번 할 경우, 전문 강사의 지도 필요.
 
 - 다이빙 후 비행기 탑승 주의
- 스쿠버와 마찬가지로 체내 가스 배출이 필요하므로, 다이빙 후 바로 비행기를 타는 것은 피해야 함.
 
 
5. 결론
- 일반적인 레저 프리다이빙 → 잠수병 거의 발생하지 않음
 - 깊고 반복적인 다이빙 → 소량의 질소 축적으로 인해 드물게 잠수병 위험 있음
 
👉 즉, 안전 규칙을 지키고 휴식을 충분히 한다면 프리다이빙에서 잠수병은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문제입니다.
반응형
    
    
    
  '프리다이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프리다이빙 블랙아웃: 원인, 위험성, 예방 방법 (0) | 2025.09.15 | 
|---|---|
| 프리다이빙에 좋은 헬스 운동: 숨 참기와 깊은 잠수를 위한 준비 (0) | 2025.09.10 | 
| 프리다이빙과 버디 시스템: 안전을 위한 필수 원칙 (0) | 2025.09.09 | 
| 프릴다이빙이 어려운 이유와 극복 방법 (1) | 2025.09.03 | 
| 프리다이빙과 수영과의 관계 (6) | 2025.08.26 |